본문 바로가기

교육 & 책추천

학부모 독서토론 운영방법: 책으로 만나는 우리, 이야기로 가까워지는 시간

반응형

학부모 독서토론 운영은 ‘의미 있게, 하지만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너무 형식적으로 흐르면 참여율이 떨어지고, 반대로 방향이 없으면 흐지부지되기 쉬워요. 아래에 현실적이고 지속 가능한 학부모 독서토론 운영 방법을 제안드릴게요.

학부모 독서토론 운영방법 (실행안 중심 정리)

1. 책 선정 방식

  • 자율 선택제
    → 한 달에 한 권은 선정하되, 추천 도서를 몇 권으로 나열하고 그 중 한 권을 선택해서 읽도록 함
    → 또는 ‘주제’만 정하고 각자 관련 도서를 자유롭게 고르도록 함
  • 학부모 투표 or 사전 희망 조사제
    → 정기적으로 (예: 학기마다) 읽고 싶은 책을 수합하여 다수결 선정
  • 분기별 주제 설정제
    → “환경”, “부모 교육”, “청소년”, “자기 돌봄” 등 넓은 주제를 정해두고
    책은 자유롭게 읽고 토론할 수 있도록 함

 

2. 진행 주기 및 형식

  • 월 1회, 1시간 이내 진행
    → 너무 자주 하면 부담되기 때문에 월 1회 또는 격월 1회로 운영
    → 줌(ZOOM)이나 구글미트 등 비대면도 가능
  • 소그룹 분반 운영
    → 전체 인원이 많으면 3~5인 소그룹으로 나눠서 더 편하게 대화할 수 있도록 운영
    → 모임 후 전체 단톡방에 짧은 소감 공유
  • ‘읽은 느낌’ 중심으로 이야기 나누기
    → 줄거리나 분석보다는 “내게 어떤 점이 와닿았는지”, “내 삶에서 떠오른 이야기” 위주로 토론
    → 책을 다 못 읽은 사람도 부담 없이 참여 가능하도록

 

3. 운영 방식 & 분위기 세팅

  • 호스트(진행자)는 매달 돌아가면서
    → 진행자는 꼭 전문성이 없어도 되며,
    간단히 질문 2~3개를 미리 준비하는 역할만 하면 됩니다.
  • ‘책 + 차 한잔 + 수다’ 같은 편안한 분위기 지향
    → 격식보다 “함께 나누는 시간”을 중심으로
    → 카페나 학교 도서관 등 열린 공간에서 진행하면 더 좋음
  • 토론보단 ‘나눔’에 가깝게 운영
    → 말하기 강요 없이 “듣고 싶을 때 듣고, 말하고 싶을 때 말하는” 흐름 유지

 

4. 기록 & 공유 방식

  • 간단한 후기 노트 or 단톡방 공유
    → 참여자 중 1명이 요점/소감 정리 후 단톡방에 공유
    → 책 속 한 문장, 기억에 남는 이야기 등만 정리해도 충분
  • 연말 or 학기말 ‘추천 도서 리스트’ 제작
    → 함께 읽은 책들을 정리해서 다음 해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공유

 

핵심 포인트 요약

선정 방식 자율적, 다수 추천 or 주제 기반
진행 빈도 월 1회, 1시간 이내
운영 형식 소그룹 + 비대면 가능 + 편안한 분위기
내용 초점 요약보다 감상 중심, 말하고 싶은 만큼
분위기 강제성 없는 참여, 차분한 공감 대화
기록 간단한 후기나 인상 깊은 문장 공유만으로 충분

 

마무리하며

독서토론은 책을 깊이 읽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공감하고, 연결되는 과정이 더 큰 의미를 가집니다. 아이를 키우는 삶 속에서 잠시 멈춰 내 마음도 돌아보고, 다른 부모님의 이야기를 들으며 위로받는 시간.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소중한 독서의 시간이 될 수 있습니다. 책을 다 읽지 못했더라도 괜찮습니다. 정답을 말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함께 읽고, 함께 웃고, 함께 성장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부담 없이, 자유롭게 그리고 따뜻하게 이어지는 학부모 독서토론을 기대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