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방학은 아이가 학교라는 틀을 벗어나 자율적인 시간 관리와 자기 주도 학습을 연습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특히 독서 습관을 만들기에는 가장 적절한 시기이기도 하지요. 강제성이 아닌 즐거움과 흥미를 바탕으로 책을 접하게 해준다면, 방학이 끝날 무렵, 아이는 한 단계 더 성장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방학 동안 아이와 함께 독서 습관을 만드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1. 목표는 작고 구체적으로!
처음부터 "하루에 2권 읽자" 같은 과도한 목표는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옵니다. 대신 “하루에 10분씩 읽기”, “매주 한 권씩 완독해보기”처럼 현실적이고 달성 가능한 목표부터 시작해보세요. 성취감이 쌓이면서 자연스레 책에 대한 거부감도 줄어듭니다.
2. 책 고르기는 아이 스스로
아이의 흥미를 고려하지 않고 추천 도서만 고집하면 독서는 '공부'로 인식되기 쉽습니다. 서점이나 도서관에 함께 가서 아이 스스로 책을 고르게 하고, 가볍게 훑어보며 “이 책 어떤 내용일까?” 하고 함께 이야기해보세요. 아이가 선택권을 갖는 순간, 독서는 훨씬 더 재미있는 일이 됩니다.
3. 독서 환경 만들기
독서 습관은 환경이 좌우합니다. 조용한 공간, 편안한 조명, 책 가까이 있는 자리 배치 등 사소한 변화만으로도 집중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이나 TV와 떨어진 자리에 책장을 놓는 것만으로도 책을 더 자주 집게 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4. 함께 읽고, 이야기 나누기
읽은 내용을 꼭 요약하거나 독후감을 쓰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대신 "그 책 재밌었어?", "넌 주인공 같으면 어떻게 했을 것 같아?"처럼 가볍게 대화를 나누는 방식이 훨씬 효과적입니다. 부모와의 대화 속에서 아이는 생각하는 힘과 표현력을 자연스럽게 키워갈 수 있습니다.
5. 독서 일기 또는 책 리스트 만들기
짧게라도 읽은 책을 기록해두면 성취감이 생깁니다. 제목, 날짜, 별점, 느낌 한 줄만 적는 간단한 독서 기록장을 만들어보세요. 방학이 끝난 뒤, 아이 스스로도 뿌듯함을 느낄 수 있고, 다음 방학 땐 더 높은 목표를 스스로 세울 수도 있어요.
마무리하며
방학이란 ‘쉼’의 시간인 동시에,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이 시기에 독서 습관을 만들면, 아이는 단순히 책을 읽는 능력뿐 아니라, 생각하고 표현하는 힘, 자율성과 집중력까지 함께 키울 수 있답니다. 책 한 권에서 시작한 변화가, 아이의 삶을 얼마나 풍성하게 만드는지 방학 동안 지켜보세요. 분명히 놀라운 성장을 마주하게 될 거예요.
'교육 & 책추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추천 '김미경의 리부트 – 코로나로 멈춘 나를 다시 일으켜 세우는 법, 멈춘 나를 다시 시작하게 한 책 (3) | 2025.07.21 |
---|---|
책추천 'Wow 프로젝트1 – 내 이름은 브랜드다'- 나는 더 이상 ‘그저 그런 사람’이 아니다 (10) | 2025.07.20 |
읽어주는 책 어플과 전통 독서, 무엇이 다를까? ‘읽는 것’보다 ‘듣는 것’이 더 익숙한 시대 (6) | 2025.07.16 |
책을 ‘제대로’ 읽고 싶다면? 작가의 소개, 프롤로그, 에필로그까지 꼭 챙겨 읽어보세요. (3) | 2025.07.15 |
책추천'미드나잇 라이브러리'- 후회와 선택의 갈림길에서 만난 ‘또 다른 삶’ (8) | 2025.07.13 |